정양삼한의원

본문 바로가기

회원로그인

오늘
142
어제
129
최대
1,600
전체
81,328
  • 정양삼한의원
  • 자료실
  • PAPERS / 특허
  • BOOKS
  • 고객지원
  • 전체메뉴
자료실
  • H
  • HOME 자료실 다이어트 치료제 GG
다이어트 치료제 GG
다이어트 치료제 GG (Gyeon Gshingangjee hwan 경신강지환)
  • GG(Gyeon Gshingangjee hwan 경신강지환)은 정양삼 원장이 직접 발표 게재한 아래의 논문을 기반으로 제조된
    다이어트 전용 한약입니다.
    • 비만연구에 사용한 한약과 방제의 연구동향
    • 경신해지환이 혈중 항비만지표와 독성지표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 Ob Ob 마우스에서 GGEx16에 의한 비만 및 지질대사의 조절 PPARS와 UCS의 작용
    • The Korean traditional medicine Gyeongshingangjeehwan inhibits obesity through the regulation of leptin and PPARaction in OLETF rats
    • 고지방식이 비만마우스 모델에서 파키스탄산 및 중국산 마황으로 조성된 降脂丸-1,2,3,4과 降脂丸-1 +加味消滯丸의 비알콜성 지방간질환 개선효과 비교
다이어트 & 디톡스 다이어트 치료제 GG의 이론적 배경
GG의 처방과 주요성분은 한의학적 시각을 분석한 『비만연구에 사용한 한약과 방제의 연구동향과 현대의학의 시각으로 분석한 유행되는 다양한 비만치료방법에 대한 평가를 비교분석하여 구성한 것입니다. 상품명은 GG(Gyeon Gshingangjee hwan. 경신강지환), 실험시료는 경신해지환輕身解脂 경신강지환輕身降脂丸이란 명칭으로 실험논문, 임상논문, 특허 등을 통해 효능 및 독성실험 결과를 발표 하였습니다.
task_alt한의학적 시각 분석
비만연구에 사용한 한약과 방제의 연구동향, 정양삼 외 5명에서 한의학 관련 학술지 44종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술논문 DB 와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 학술원 한의학문헌정보서비스를 통해 1960년 2003년에 발표된 비만에 과하 하양과 방제를 비교분석하였다. 25종의 학술지에 110편이 발표되었고, 한약 및 방제와 관련해서는 54편이 발표되었는데, 한약(枸杞子、桔梗、綠茶、大黃、半夏、白劳、山査肉、夏枯草) 8종, 방제(加味補中益氣湯、加味六君子湯、加味淸心蓮子湯、加味黃連地黃湯、藿香正氣散加味方、大柴胡湯、防己黃芪湯、防己黃芪湯加枸杞子、防風通聖散、肥減丸、四物安神湯、小柴胡湯、消脹飮子、柴胡疏肝散、五苓散、五苓散加蒼朮、溫膽湯、越鞠丸、二陳湯、體減大補湯、體減防風通聖散、體減補血安神湯、體減薏苡仁湯、體減行血薏苡仁湯、體減行血薏苡仁湯加玉米鬚、無名方劑) 26종, 사상체질방(十二味寬中湯、凉膈散火湯、太陰調胃湯、淸肺瀉肝湯、調胃升淸湯) 5종으로 분류한 후, 각 처방의 구성성분과 용량을 비교분석하였다.
task_alt현대의학적 시각 분석
유행되는 다양한 비만치료방법에 대한 평가. 김상만, 1997. 대한비만학회, 아주대학교 가정의학과 비만클리닉에서 유행되는 다양한 비만치료 방법 중 '한약을 이용한 비만치료 를 인용하면, “한방에서는 비만을 크게 2가지로 분류하고 있다. 첫째는 단순형 비만처럼 음식을 잘 절제하지 못하고, 운동량이 적은 경우 발생한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둘 째는 영양부족 등에 의하여 부종이 나타난 경우를 비만으로 분류하였다. 대부분 한방에서는 후자인 부종에 대한 치료를 위주로 치료하였으며, 이때 이뇨작용이 있는 목통, 택사, 복령 등을 사용하여 치료했으며, 영양부족에 의한 부종을 치료하기 위하여 의이인(율무)과 같은 고단백 식사로 치료하였다."라는 내용에 이어 “영양과잉으로 발생한 비만에 대하여는 마황(EPEDRA)과 같이 에너지 소비량을 늘리는 약제와 숙지황처럼 에너지 섭취를 억제하는 방법, 대황과 같은 사하제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한약재의 경우 다당류, 아미노산, 무기질이 함유되어 자체로 인한 영양공급 등으로 공복감을 없애고, 저열량 식사와 부작용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는 작용을 기대할 수 있다.” 라는 현대의학적인 한약의 약리기전을 밝히고 있다.
task_alt비만에 관한 한약과 방제에 대한 분석
한의학관련 학술지 44종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술논문DB와 대구한의대학교 제한동의 학술원 「한의학문헌정보서비스에서 1960년-2003년에 발표된 비만에 대한 논문을 검색하였다. 검색된 비만에 관한 논문 중에서 한약과 방제에 대한 논문만을 대상으로 분석한 뒤에 기존의 연구 현황과 향후 수정하고 보완해야할 비만연구 방향을 제시하여 보았다. (출처 논문, 「비만연구에 사용한 한약과 방제의 연구동향, 정양삼 외 5명)
assignment_turned_in1. 25종의 학술지에 110편이 발표되었고, 한약 및 방제와 관련해서는 54편이 발표
학술지,연도별 비만논문 현황
assignment_turned_in2. 한 약
枸杞子、桔梗、綠茶、大黃、半夏、白劳、山査肉、夏枯草의 8종
assignment_turned_in3. 방 제
加味補中益氣湯、加味六君子湯、加味淸心蓮子湯、加味黃連地黃湯、藿香正氣散加味方、大柴胡湯、防己黃芪湯、防己黃芪湯加枸杞子、防風通聖散、肥減丸、四物安神湯、小柴胡湯、消脹飮子、柴胡疏肝散、五苓散、五苓散加蒼朮、溫膽湯、越鞠丸、二陳湯、體減大補湯、體減防風通聖散、體減補血安神湯、體減薏苡仁湯、體減行血薏苡仁湯、體減行血薏苡仁湯加玉米鬚、無名方劑의 26종 발표
비만연구에 사용한 한약,方劑 현황
assignment_turned_in4. 사상체질방
十二味寬中湯、凉膈散火湯、太陰調胃湯、淸肺瀉肝湯、調胃升淸湯의 5종
사상체질方劑와 그들의 구성한약 분석
assignment_turned_in5. 동물실험연구
비만연구에 쓰인 한약과 방제의 지표들을 비교
in vivo
  • 식이섭취량, 식이효율, 분변총지방량, 체중
  • 혈청(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FA. triglyceride, total lipid, phospholipid, lipid peroxide, glucose,insulin, leptin, free T3, free T4, T3 uptake, T3, T4, FSH, LH, E2, AST, ALT)
  • 혈장전해질량(Na+, K+, C), 백혈구유주억제효과, 간장(triglyceride, total tholesterol, acety-CoA Carboxylase, fatty acid synthetase, 지방침착면적중량)
  • CI4, 간독성(GOT, GPT) - 비장중량 - 신장(중량, 주위 지방 조직학변화, 주위지방세포 수, 주위 지방세포 직경)
  • 부신중량
  • 복벽(지방 조직학변화, 지방세포 수, 지방세포 직경)
  • 뇌하수체중량
  • 회음부(주위피하지방 조직학변화, 주위피하지방세포 수, 주위피하지방세포 직경)
  • 배란율, 난자수, 체외수정, 배발생, 수태율, 분만율, 자궁주위지방조직
  • 고환중량, 고환주위중량, 부고환지방(세포)(면적, 갯수, 중량)
  • 분자생물학적 분석(골격근, 장간막, 후복벽, 부고환의 obese mRNA, TNF-a mRNA)
  • 오줌(요량, 이뇨작용, Na+, K+, C. creatine)
  • 부종(1% Dextran, Yeast)
  • 해열작용 (정상체온, Typhoid-Vaccine)
  • 군당동물수, 실험기간, 비만유발, 실험동물, 통계처리를 비교
in vitro
  • 3T3-L1 세포주의 자연분화시, 유도분화시로 구분하여 비교
assignment_turned_in6. 임상연구
  • 체지방율, 체지방량, 근육량, 체수분, 체질량지수(BMI)
  • 혈청(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FFA. triglyceride, total lipid, phospholipid, B-lipoprotein, lipid peroxide, glucose, insulin, leptin, free T3, free T4. T3 uptake, T3, T4, AST, ALT)
  • 혈장(serotonin)
  • 간장(triglyceride, total cholesterol, acetyl-CoA carboxylase, fatty acid synthetase, 지방침착면적, 중량)
  • 분자생물학적 분석
  • 오줌(5-Hydroxyindoleacetic Acid(5-HIAA))
  • 환자수, 실험기간, 환자유형, 통계처리로 구분하여 비교
download_for_offline 제품소개 바로가기